금요일 모닝커피 2011~2013

외국어 용어와 이름- 2012. 10. 5.

jaykim1953 2012. 10. 5. 08:29

 

지난 달 9 7일 저는 저희 집 사람과 함께 싱가폴로 2 3일간 여행을 다녀 왔습니다. 싱가폴에 있는 제 친구 알버트 림’ (Albert Lim)의 아들이 결혼을 하는데 참석하기 위하여 갔었습니다. 저희 큰 아들 결혼식에 이 친구 부부가 참석하였기에 저희 부부가 그 답방으로 다녀온 것입니다. 저희는 금요일에 싱가폴에 도착하였고 토요일 아침 일찍부터 다례(茶禮, tea ceremony: 신부가 신랑 집 가족과 친척들에게 인사를 하며 차를 한 잔씩 대접하는 행사. 우리나라의 폐백과 유사하나 절을 하지 않고 차--만 올리는 것이 다름)를 시작하였습니다. 점심 때에는 교회에서 목사님의 주례로 결혼식을 하고 간단한 점심 부페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녁 시간에 리셉션이 있었고, 이 리셉션은 밤 12시가 다 되어서야 끝이 났습니다. 게다가 리셉션에는 저희 집사람에게 한복을 입어 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저희 집사람은 한복을 입고, 저는 또 그 수준에 맞추느라 나비 넥타이를 매고 리셉션에 참석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국 하루 종일 옷을 바꿔 입어가며 결혼식 행사를 쫓아 다녀야 했습니다.

알버트 림이라는 친구와 제가 처음 만난 것은 1981년 제가 싱가폴에 연수차 파견 나가서 근무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 때에는 제 큰 아들이 채 돌도 되지 않았었습니다. 제 주변에 어린 아이를 데리고 있는 사람이 없었던 덕에 제 아들은 주변의 귀여움을 독차지하였습니다. ‘알버트는 그 때에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부인인 린다 네오’ (Linda Neo)와 데이트를 하던 때였습니다. 그 때 이들을 처음 알게 된 이후 제가 싱가폴에 갈 때마다 함께 어울렸고, 이들도 서울로, 뉴욕으로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방문할 기회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자주 교류하면서 친분이 쌓여 갔고, 제 큰 아들이 린다가 일하는 회사에서 약 두 달간 인턴 근무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인턴 근무를 할 때에 제 아들은 알버트의 집에서 기거하면서 출퇴근을 하였습니다. 이 친구는 제게 싱가폴을 생각할 때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친구이고, 이 친구에게는 한국을 생각할 때에는 제일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제가 되었습니다.

알버트 림의 한자 이름은 林發祥이고 자신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hokkien, 호키엔, 福建)림 후앗 시옹이라고 읽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중국 이름은 방언에 따라 달리 발음하여 혼란의 소지가 있다고 합니다. 중국어(만다린, 普通話), 영어, 말레이어, 태밀어(Tamil: 인도 태밀지방 언어) 4개 언어를 표준어로 사용하는 싱가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영어로 이름을 부르면 발음에 따른 혼선을 예방할 수 있어 영어 이름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싱가폴에서는 저도 제이 킴’ (Jay Kim)이라고 불렀습니다. 자기네들 발음(호키엔)으로는 제 한자 이름인 金再虎찜 자이 푸라고 읽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제 이름을 우리나라 식으로 정확히 발음하지 못 할 바에야 차라리 제 이름에 근접한 발음으로 제이 킴이라고 부르는 것이 서로 편하였습니다. (사실은 저희 아버지께서 제 이름을 지으실 때에 한-영 두 가지를 모두 생각하고 지으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제 영어 이름이 제이라는 것에 일찍이 어려서부터 익숙하였습니다.)

이름에는 화장실을 지칭하는 것도 있습니다. 미국 사람들은 화장실을 속어로 ’ (john)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영국식 영어로는 다르게 부릅니다. 예전에 싱가폴에서 함께 저녁 식사를 하던 한 직원이 제게, “Do you know where the loo is?” ( loo 가 어디에 있는지 아니?)라고 묻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loo’가 무엇인지 몰라 당황하였고, ‘loo’가 무엇이냐고 되묻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그는 제게 ‘loo’는 영국식 속어로 화장실을 이르는 것이라 알려 주었습니다. 영국에서 불리는 화장실의 또 다른 이름은 ‘loo’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비데의 상표 가운데 라는 말을 겹쳐서 사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국 사람들이 화장실을 ‘loo’라고 부르는 것을 알고서 지은 이름이었는지 모르나 쉽게 화장실이 연상되는 재미 있는 이름이었습니다.

이름이 재미 있게 잘 지어진 것도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이름을 잘 못 지어진 예도 많이 있습니다. 그 예를 몇 가지 살펴 보겠습니다.

1984년이었습니다. 체이스 맨하탄 은행 서울지점에서 저와 함께 일하던 미국계 중국인 빌 우 (Bill Wu: 당시 제 보스)라는 사람이 제게 물었습니다. 한국에 쿨 피스라는 음료가 있느냐고. 그 즈음에 해태음료에서 쿨 피스라는 음료를 실제로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저는 아차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어로 피스 piss라고 쓰면 그 뜻이 소변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쿨 피스라고 하면 시원한 소변이 되고, 이를 마신다면 이는 곧 소변을 시원하게 마신다는 것으로 오해 받기 십상입니다. 공연히 영어 이름을 쓰면서 이름을 잘 못 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차라리 순 한국말 이름을 지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쿨피스 광고 영상: 쿨피스광고)

우리나라만 이런 예가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1960년대 말에 미국의 GM에서 제조한 차 가운데 쉐보레(Chevrolet) 노바(Nova)라는 차가 있었습니다. 이 차는 모양도 예쁘고 성능도 좋아서 그 당시 미국내에서 판매율 1~2위를 달리는 베스트 셀러 중형차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엉뚱한 곳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이 차를 남미지역으로 수출하면서는 이름을 노바라고 부르지 못하고 Chevy II (쉐비 투)라는 이름으로 팔았습니다. 남미의 많은 나라에서는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스페인어로 ’(no)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부정(否定)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va)가다’, ‘움직이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노바가지 않는다’, 또는 움직이지 않는다라는 뜻이 되고 만 것입니다. 그러니 이름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차를 누가 사려하겠습니까. 결국 이름을 바꾸어서 팔아야만 했던 것입니다. (관련자료: Nova legend)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판매량을 자랑하는 차가 된 쏘나타도 한 때는 이름 때문에 곤혹을 치렀던 적이 있습니다. 이름을 소나타라고 표기하자 일부 경쟁사에서 이 차를 ()나 타는 차라고 깎아 내렸던 것입니다. 결국 이름을 소나타가 아닌 쏘나타로 표기하는 것으로 일단락 지었습니다. 그 뿐 아니라 한 때 우리나라 정부투자기관이 기부(寄附)를 많이 유도하려는 의도로 기부 업(up)’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를 영문으로 ‘give up’이라고 커다란 글씨로 써놓는 바람에 혼선을 빚기도 하였습니다. 영어로 ‘give up’이라는 말은 포기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기부를 더 많이 하라는 의도로 썼으나 뜻 밖에 그 말로 인하여 (무엇인지 모르나) 포기하라고 권하는 꼴이 되어버리고 만 것입니다.

영어로 지어진 이름을 우리말로 옮기는 것도 경우에 따라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good’이라는 단어는 좋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른 표현으로 번역됩니다. 영어로 ‘good shepherd’는 우리 말로 ()한 목자라고 번역합니다. “Good Friday’() 금요일입니다.

그런가 하면 금융 거래에서 ‘good day’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가 있는데 이는 거래가 가능한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선물환 거래를 하면서 ‘Is October 3, 2012 a good day for US dollar/Korean won?’ 이라고 묻는다면 이는, ‘2012 10 3일이 미국 달러화 대 한국 원화 외환거래가 가능한 날인가?’라고 묻는 것입니다. 이날은 개천절로 우리나라의 은행들이 문을 닫는 날이어서 한국 원화 관련 거래에는 ‘no good day’ 입니다.

영어 단어 ‘good’이 쓰이는 또 다른 예를 보겠습니다. 금융시장에서 주문을 낼 때에 ‘GTC’라는 말을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GTC’“good till canceled’의 약자입니다. , ‘취소될 때까지 유효라는 의미입니다. 이 때에는 ‘good’이라는 단어가 유효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Good faith money’ 라는 용어도 금융분야에서 많이 쓰입니다. 이 말은 이행 담보금’(履行擔保金)이라고 통상 번역됩니다. 어떤 약정을 하고 그에 대한 이행을 약속하면서 거래대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good faith’라는 말은 선의’ (善意)라고 번역됩니다.

이와 같이 ‘good’이라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여러 가지로 쓰이고 우리 말로 옮길 때에는각 상황에 따라 달리 번역하게 됩니다.

오늘은 영어와 얽힌 이름, 용어에 관한 이야기를 살펴 보았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