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모닝커피 2017-2019

溫故而知新- 2019. 3. 22.

jaykim1953 2019. 3. 22. 16:52



우선 노래 한 곡을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Petula Clark Downtown

이 노래는 1964년에 발표된 Petula Clark Downtown 이라는 노래입니다. 발표 당시에는 상당히 인기도 있었고 매우 경쾌한 노래로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였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이 노래는 조금 특별한 이유 때문입니다.

저보다 조금 더 젊은 세대는 롤러 스케이트를 즐겨 탔다고 합니다. 소위 롤러장 세대라고들 합니다. 그렇다면 저는 무슨 세대일까요? 롤러장 세대에 비긴다면 아마도, 지금은 없어진, 동대문 실내 스케이트장 세대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중고등학교 다니던 시절에는 체육시간이면 전교생을 단체로 몰고 가서 울며 겨자 먹기로 스케이트를 타라고 하였습니다. 그 뿐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관계 없이 스케이트장에 5번 갈 수 있는 쿠폰 북을 사야만 했습니다. 그 쿠폰 북이 아까워서 쉬는 날이면 스케이트장으로 가서 스케이트를 타곤 했습니다. 그 당시 동대문 실내 스케이트장에서는 흥겨운 음악을 틀어주었는데 그 때 자주 틀어 주던 노래 가운데 하나가 바로 Downtown입니다.

이 노래가 처음 나왔을 때에는 저는 국민학교 (현재의 초등학교) 5학년이었고, 그 이후 중고등학교 다니면서 동대문 실내 스케이트장에서 자주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이야 다운타운이라는 단어를 거의 누구나 이해하겠지만, 이 노래가 처음 나왔을 때만 하여도 이 노래를 소개하면서 DJ들이 설명을 곁들였습니다. ‘다운타운이란 번화가, 중심가를 뜻하는 말입니다. 미국 뉴욕 맨하탄의 남쪽 번화가를 의미하는데, 지도를 그릴 때 북쪽을 위쪽으로 그리다 보니 남쪽이 밑에 그려지고, 그래서 맨하탄의 남쪽을 다운타운- , 아랫쪽 마을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제가 어렸을 때에는 다운타운이라는 말조차도 생소하게 느껴졌지만 이제는 거의 우리 말처럼 많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세상 일 가운데에는 알 듯 하면서도 알지 못하고, 모르는 듯 하면서도 수긍이 가는 일들이 있습니다.

언젠가 인터넷에서 보았던 내용을 퍼 왔습니다.

한밤중에 팔순의 부모님께서 부부싸움을 하시더니, 아버지는 장롱에서 대소사 때나 차려 입던 양복을 꺼내 입으신다.

"내 저 답답한 할망구랑 단 하루도 살 수 없다"시며 죄 없는 방문만 걷어차고 나가신다.

나는 아버지께 "나가시더라도 날이 밝은 내일 아침에 나가시라"며 달랜다.

대문을 밀치고 걸어나가는 칠흑의 어둠 속, 버스가 이미 끊긴 시골마을의 한밤, 아버지는 이 참에 아예 갈라서겠노라고 큰소리를 치신다.

나는 싸늘히 등을 돌리고 있는 어머니를 다독이며 "좀 잡으시라"고 하니,  "그냥 둬라, 내가 열일곱에 시집와서 팔십 평생 네 아버지 집 나간다고 큰소리치고는 저기 저 등성이를 넘는 것을 못 봤다."

어둠 속을 한참 쫓아가니 저만치 보이는 구부정한 아버지의 뒷모습, 잰 걸음을 따라 나도 가만히 걷는다.

기세가 천 리를 갈듯 걸어서 드디어 산등성,

고요하게 잠든 숲의 정적과 뒤척이는 새들이 혼곤히 잠든 어둠 속에서, 순간 아버지가 걷던 걸음을 멈추시더니 집 쪽을 향해 소리를 치신다.

"에이, 이 못된 할망구야! 서방이 나간다면 잡는 시늉이라도 해야지, 이 못된 할망구야,

뒤돌아 씩씩거리며 아버지는 집으로 빠르게 내닫는다.

지그시 웃음을 물고 나도 아버지 뒤를 따른다.

어머니가 켜놓은 대문 앞 전등이 환하다.

아버지께서는 왜 팔십 평생 저 낮은 산등성이 하나를 넘지 못하셨을까?

 

아들이 묻는다.

아버지는 왜 저 산등성이 하나를 못 넘느냐고.

아버지가 답한다.

가장이 산등성이를 넘어가면 안 되는 거라고.

 

딸이 묻는다.

왜 엄마는 대문 앞까지 전등불을 켜 놓느냐고.

어머니가 답한다.

남정네가 대문을 나가면 그 순간부터 기다려야 하는 거라고.

 

아들 딸이 묻는다.

그럴 걸 왜 싸우느냐고.

부모가 답한다.

물을 걸 물어보라고!!

 

어느덧 이런 이야기를 읽으며 저는 고개를 끄덕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제 나이 또래 또는 저보다 연배가 높으신 분들께서는 이 우화가 시사하는 바를 수긍하시는 분이 많이 계실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아무리 화가 나고 참지 못하여도 넘어서는 안 될 선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리의 아버지와 어머니들께서는 그러한 지혜와 법도를 알고 계셨습니다. 하루 이틀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세대를 이어가면서 대대손손이 전해 내려왔습니다. 지금은 이러한 전통의 대물림이 아쉬운 때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지나간 정권이 이룩해 놓은 것들을 뒤엎고 부수기에 바쁜 듯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정부가 새로운 것을 새롭게 창조적으로 시작한다는 것을 목청 높여 자랑합니다. 전통을 이어 받으려 하지 않고, 과거를 부정하고 새로운 논리와 가치관을 강요합니다.

이제는 지나간 시간에 축적된 경험에서 지혜를 배우고 이어가는 전통이 이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을 다시 한 번 되뇌어 봅니다.